Stroke Information(중풍(뇌졸중) 정보)

designer (9)

중풍의 폐증과 탈증 – Stroke Syndromes

중풍의 폐증과 탈증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troke Syndromes

중장부(中臟腑) 증후군

중풍의 중장부는 장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증후군으로, 폐증(閉證)과 탈증(脫證)으로 구분됩니다.

폐증(閉證)

임상표현

갑자기 혼미가 오고 눈을 감고 이를 악물며 낯빛이 붉고 열이 나며 목에서 가래가 끓고 대소변이 배설되지 못한다. 혀의 이끼는 누렇고 끈적끈적하고 어지러우며 맥은 현하고 빠르다.

병인병리

간양이 항진되고 풍이 발동되면서 기와 혈 혹은 담을 이끌어 우로 올라가 청규를 막아 발병된다.

치료원칙

열과 화를 없애고 담을 없애며 풍을 가라앉게 하고 담을 없애며 규를 열어주어 정신을 차리게 한다.

침구처방

수구

열사를 밀어내고 규를 열어줌

12정혈

점자하여 피를 삼출, 열사 제거

용천

규를 열어주는 작용

내관

규를 열어주고 양기 회복

태충

간풍을 눌러 가라앉힘

합곡

사관을 열어줌

풍륭

담을 없애고 규를 열어줌

증상에 따른 추가 혈자리 배합

  • 아관긴급(牙關緊急): 하관과 협거혈 추가
  • 손 경련: 합곡혈 추가
  • 언어장애: 아문과 상렴천 추가

수구혈은 우로 향해 찌르고 12정혈은 점자(点刺)하여 피를 삼출한다. 내관은 침끝을 척골측으로 약간 향하고 제삽사법으로 시술한다. 자극을 너무 강하게 주지 말아야 한다. 매일 1차, 매차 30분 좌우 류침한다.

수구, 12정혈, 용천혈은 열사를 밀어내고 규를 열어주며 내관은 규를 열어주고 양기를 회복시켜 궐역(厥逆)을 구급한다. 태충과 합곡을 배합하면 사관(四關)을 열어주어(四關·좌우의 손과 발을 합쳐 사관이라 한다) 간풍을 눌러 가라앉히고 규를 열어 준다. 풍륭은 담을 없애고 규를 열어준다.

탈증(脫證)

임상표현

정신이 혼미하고 눈은 감으나 입을 벌리고 손을 펼쳐지고 낯빛이 창백하며 코를 골고 숨소리가 미약하다. 사지가 차 올라오며 식은땀을 흘리며 대소변이 나가는 것을 모른다. 혀이끼는 희며 맥은 가늘고 약하다(細弱). 만약 기름같은 땀을 흘리며 동공이 산대되거나 양쪽 동공의 크기가 같지 않으며 맥이 미약하여 알리지 않거나 부하고 근원이 없는 감각이면 이는 진기가 겉으로 이탈되는 현상으로서 대단히 위중한 증후이다.

병인병리

원기가 쇠하고 미약해지며 원양(元陽)이 이탈된다.

치료원칙

양기를 회복시키고 허탈을 막아준다.

침구처방

신궐

배꼽 중심, 양기 회복

관원

양기 강장, 허탈 방지

기해

원기가 모이는 곳

태계

신기 복돋움, 양기 강장

관원혈에 격강뜸(隔姜灸)을 뜨고 신권혈에 격염뜸(隔鹽灸)을 뜬다. 기해와 태계혈을 보법으로 시술한다.

관원은 임맥과 족삼음경의 교회혈로서 양기를 강장하고 허탈을 막는 작용이 있다. 신궐은 배꼽중심인데 진기가 연계되어 있으므로 뜸을 뜨면 양기를 회복시키고 허탈을 막을 수 있다. 기해는 원기가 모이는 곳으로 태계는 족소음경의 주요혈로서 신기를 복돋아 양기를 강장하는 작용이 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